Post

네트워크 공부 4

OSI 7계층 모델의 3계층

3계층의 기능

- 3계층에서 하는 일

  • 다른 네트워크 대역 (멀리 떨어진 곳의 네트워크) 까지 데이터를 전달하는 경로 제어
  • 발신에서 착신까지의 패킷의 경로 제어

- 3계층에서 쓰는 주소

- IP주소

  • 통신할 때 IP주소 뿐 아니라 서브넷 마스크, 게이트웨이 정보도 필요함

- 3계층의 프로토콜

- ARP 프로토콜

  • IP주소를 이용해 MAC 주소를 알아옴

- IPv4 프로토콜

  • WAN에서 통신할 때 사용

- ICMP 프로토콜

  • 통신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

일반적인 IP 주소

- Classful IP주소

  • 클래스 기반으로 IP를 나누는 방식으로, 클래스에 따라 네트워크와 호스트 구분이 달라지며 이 방식은 IP 낭비가 발생할 수 있음

  • 이진수로 변환된 모습

- A 클래스

  • 첫번째 필드를 네트워크 대역 구분에 사용 (최대 2^7개의 네트워크 대역 구분 가능)
  • 나머지 필드를 네트워크 내의 장비를 구분하는데 사용 (최대 2^24개의 장비 구분 가능)

→ 큰 조직에서 사용하기에 적합

- B 클래스

  • 첫번째, 두번째 필드를 네트워크 대역 구분에 사용 (최대 2^14개의 네트워크 대역 구분 가능)
  • 나머지 필드를 네트워크 내의 장비를 구분하는데 사용 (최대 2^16개의 장비 구분 가능)

- C 클래스

  • 세번째 필드까지 네트워크 대역 구분에 사용
  • 마지막 필드를 네트워크 내의 장비를 구분하는데 사용

- D 클래스

  • 멀티캐스트 통신에 사용

- E 클래스

  • 연구 및 실험용으로 사용

- Classless IP주소

  • 클래스 구분 없이 IP 주소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식으로, 낭비를 줄이기 위해 서브넷 마스크와 함께 사용함

- 서브넷 마스크

  • 어디까지 네트워크 대역을 구분하는데 사용되고 어디부터 호스트를 구분하는데 - 32비트로 이루어지며, 1과 0으로 네트워크 대역과 호스트 구분
  • 1에서 0으로 바뀌는 부분까지가 네트워크 대역, 나머지는 호스트 구분에 사용됨
  • 예시 :

- 사설IP와 공인IP

  • 공인IP 1개당 2^32개의 사설IP를 매핑해 사용 가능
  • 실제 인터넷 통신은 공인 IP를 통해 이루어짐
  • 외부 네트워크에서는 사설IP가 보이지 않음

- 공유기의 역할

  • 외부에서 사설 IP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공유기가 NAT 테이블을 통해 사설 IP와 공인 IP 간의 통신을 중계
  • 외부에서 들어온 패킷을 NAT 테이블을 확인해 내부 장비로 전달
  • 나간 적 없는 패킷이 들어오면 공유기가 패킷을 폐기함
    → 주로 서버는 공인 IP 사용

    - 포트포워딩
    • 특정 포트를 열어 내부 장비로 직접 통신할 수 있게 해줌
    • 포트 포워딩을 설정하면 공인 IP를 통해 내부의 사설 IP 장비에 접속 가능

특수한 IP 주소

- 0.0.0.0

  • 와일드카드 주소: 나머지 모든 IP 주소를 의미, 주로 라우팅에서 사용

- 127.X.X.X

  • 루프백(Loopback) 주소: 자신의 장치(로컬)로 트래픽을 보내는 데 사용,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에 활용

- 게이트웨이 주소

  • 내부 네트워크에서 외부 네트워크(인터넷)로 연결되는 출입구 역할을 하는 주소
  • 게이트웨이를 알지 못하면 외부와 통신할 수 없음

* 실습

- 내 PC의 IP주소(사설 IP) VS 네이버 서버가 알고있는 나의 IP주소(공인 IP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