침해사고분석 실습 1
윈도우 레지스트리
Registry Explorer
Autoruns
프로세스 모니터
TCP View
REGA
바이러스 실행
NAT 네트워크 환경에서 실행 권장
- 바이러스 실행 중 악성코드가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네트워크 분리 필요
- 악성코드가 내부 IP를 통해 접근할 가능성 대비
실행 절차
- 윈도우 방화벽 및 백신 비활성화
- 바이러스 실행을 방해할 수 있는 보안 기능을 일시적으로 비활성화
- 다운로드 폴더를 검사 제외 폴더로 설정
- 바이러스 파일이 다운로드 및 실행되는 동안 탐지되지 않도록 설정
- 악성코드 파일 다운로드
- Bazaar Abuse.ch 사이트 접속
- 상단의
Browse
탭에서.exe
파일 선택 후 다운로드
- 다운로드 파일 압축 해제
반디집
압축 해제 도구를 사용하여 파일 해제
- 이더넷 연결 해제
- 인터넷 연결을 차단하여 악성코드의 외부 통신 방지
- 바이러스 실행 및 모니터링
- 다운로드한 파일 실행
- 아래 도구들을 사용하여 시스템 변화 및 이상 현상 확인:
- Process Monitor: 실행된 프로세스 및 관련 파일 활동 추적
- Wireshark: 네트워크 통신 활동 모니터링
- Autoruns: 자동 실행 항목 변경 확인
- RegShot: 레지스트리 변화 비교 및 분석
주의: 실험 종료 후 환경 복원을 위해 스냅샷 사용을 권장하며, 악성코드 실행으로 인해 발생한 모든 변경 사항을 복구하거나 시스템을 재설치할 준비가 필요